보유장비 및 주요검사
주요 수술 및 시술
인공관절치환술(무릎, 어깨, 고관절)
관절내시경 수술
관절경 검사
골종양
골절수술
인공관절치환술
나이가 들면 퇴행성 관절염을 비롯해 각종 관절염,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감염 등으로 인해 관절의 연골이 닳습니다. 이럴 경우 뼈가 노출돼 서로 마찰이 일어나고 심한 통증과 운동 제한이 생깁니다. 물리치료나 약물로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관절을 삽입하는데 이것을 인공관절치환술이라고 합니다. 엉덩이, 무릎, 발목, 어깨, 팔꿈치, 손목, 손가락 등에 적용 가능합니다.
관절내시경수술
환부를 절개하지 않고 1cm 미만의 조그마한 구멍을 내 그곳으로 특수 소형카메라가 달린 관절내시경을 삽입, 모니터로 연골의 손상 정도를 확인하며 수술하는 방법입니다. 퇴행성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십자인대 파열, 반월상연골 파열, 측부인대손상, 연골연화증, 회전근개파열, 오십견, 석회성건염, 손목터널증후군, 테니스엘보, 발목인대손상 등에 적용 가능합니다. 절개 부위가 작아 회복 속도가 빠르고 수술 후에 나타날 수 있는 후유증 발생률이 적습니다.
관절경 검사
관절경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수술하는 것을 말합니다. 가느다란 관에 특수한 렌즈를 부착해 관절 속의 구조물을 살펴볼 수 있으며 관절 내의 질병에 대한 진단뿐 아니라 연골판이나 십자인대에 대한 수술, 관절연골 수술, 활액막 수술 및 심하지 않은 관절 골절 수술도 적용 가능합니다.
주요질환
퇴행성 관절염
노화와 함께 찾아오는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의 연골이 닳아서 없어지고 관절에 염증이 생겨서 통증과 함께 뻣뻣해지는 강직증상을 말합니다. 생활에서 자주 쓰는 부위인 목, 허리, 손가락, 고관절, 무릎 등에 많이 발생합니다. 오랫동안 서 있거나 오래 걸었을 때, 계단을 오르내릴 때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와 쪼그려 앉기가 힘들면 퇴행성관절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월상 연골판 손상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관절의 안쪽과 바깥쪽에 하나씩 위치한 C자 모양의 연골판입니다. 반월상 연골판이 손상되면 계단을 오르거나 앉았다 일어날 때 무릎 통증이 있고 가끔 무릎이 붓습니다. 심한 경우 무릎이 꺾이거나 잘 펴지지 않고 구부러지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때에 따라서는 퇴행성관절염으로도 진행됩니다.
유착성 관절낭염
어깨 주위에 특별한 질환이 없는데도 어깨가 통증과 함께 굳어서 팔을 마음대로 들거나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인데 소위 ‘오십견’이라 불립니다. 아픈 어깨 방향으로 누워 잠자기도 불편하고 머리를 빗는 것조차 쉽지 않을 만큼 통증이 심합니다. 어깨의 관절낭이 노화되면서 염증이 생겼고 이것이 관절막의 섬유화를 촉진해 관절이 굳으면서 다시 통증을 야기해서 발생합니다.
골절(낙상)
나이가 들면 골밀도가 감소돼 약한 충격에도 뼈가 쉽게 부러집니다. 낙상은 넘어지는 그 자체로도 위험하지만 자칫하다가는 생명을 잃을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조심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고관절 골절(허벅지 뼈와 골반 연결 부위). 빙판길을 걷다가 미끄러져 엉덩방아를 찧으면 장기간의 침상 안정과 기브스 고정을 요하는데 이 과정에서 욕창이나 폐렴과 같은 합병증이 생길 경우 잘못하면 사망에 이릅니다.
기타 정형외과적 질환
어깨회전근개 파열, 골종양, 손목터널증후군, 무지외반증, 족저근막염, 내향성발톱, 당뇨발